[TIL] 객체(Object)의 기초: 객체에 접근, 객체 추가, 삭제, in 연산자, for ... in 문, Object.keys, Object.entries
2021년 3월 9일 화요일 객체란 무엇인가? 객체는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집합이다. 중괄호(curly bracket)으로 묶는다. let person = { name: 'James', //name은 key, 'James'는 value(값)이다. name: 'James'를 property라고 한다. age: 20 }; property는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다. property의 구분은 쉼표(,)이다. key는 value에 접근할 수 있는 식별자 역할을 한다. 이미 존재하는 키를 중복 선언하면 나중에 선언한 property가 먼저 선언된 property를 덮어준다. let foo = { name: 'Steve', name: 'James' }; console.log(foo); // { name:..
2021. 3. 9.
[TIL] 배열(Array) 메소드: length, push, pop, shift, unshift, Array.isArray, indexOf, includes, concat, join, slice
javascript의 배열에 대해 정리해 보자 배열은 무엇인가? 한 마디로 순서가 있는 값이다. let arr = [ 1, 2, 3, 4, 5]; 대괄호(square bracket)를 이용해 element들을 그 안에 넣고, comma로 각 element를 구분한다. 배열에는 원본이 수정되는 메소드가 있고, 원본이 수정되지 않는 메소드가 있다. 기존의 배열을 수정하는 메소드: push, pop, shift, unshift 기존의 배열을 수정하지 않는(원본유지) 메소드: slice, split, join, concat 배열의 길이를 알기 위해서는 length를 사용하면 된다. let arr = [ 1, 2, 3, 4, 5]; arr.length; //5 push, pop, shift, unshift: pu..
2021. 3. 9.
[TIL] Math 메서드: Math.abs, Math.floor, Math.ceil, Math.round, Math.sqrt, Math.random, Math.max, Math.min, Math.pow 정리
2021.3.4(목) 어제 오늘 코플릿 문제를 풀면서 Math의 메서드인 Math.abs, Math.floor 를 접하게 되었다. 그래서 이 참에 Math 메서드 중 자주 사용되는 Math.abs, Math.floor, Math.ceil, Math.round, Math.random, Math.max, Math.min, Math.pow, Math.sqrt를 간단히 정리해 보아야겠다. 자료는 이웅모 님의 자바스크립트의 탁월한 저서 "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"와 mdn 문서를 참고하였다. Math.abs(): 인수로 전달받은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한다. 절댓값은 반드시 양수 혹은 0이어야 한다. Math.abs(-1); // 1 Math.abs('-1'); // 1 Math.abs([-1]); // ..
2021. 3. 4.